디지털 전환 시대를 맞아 국내 ICT(정보통신기술) 기업들의 해외 진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이를 적극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한 지원 정책을 꾸준히 확대하고 있습니다. 그 중심에 있는 것이 바로 K-Global 해외진출 지원사업입니다. 2025년에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이 주관하는 이 사업은 국내 유망 ICT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종합적인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현지 진출에 필요한 네트워킹부터 컨설팅, 마케팅까지 폭넓은 지원을 제공합니다. 지금부터 해당 사업의 주요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1. K-Global 해외진출 지원사업 개요
국내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의 스타트업 및 중소기업이 해외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을 제공하는 사업입니다. 이 사업은 시장 가능성, 기술 경쟁력, 글로벌 확장성 등을 갖춘 기업을 선발해 현지 시장 진출을 위한 맞춤형 지원을 실시하는 것이 특징이며, 단순한 일회성 이벤트가 아닌 단계별 성장을 도모하는 구조로 운영됩니다. 특히 K-Global 브랜드 아래 해외 홍보, IR 피칭, 글로벌 파트너십 체결, 바이어 상담회 등 통합적 지원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업들은 보다 전략적인 방식으로 글로벌 시장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2. 지원 대상 및 선정 요건
2025년 K-Global 해외진출 지원사업의 지원 대상은 국내 ICT 관련 중소·중견기업 및 스타트업으로, 해외 진출 계획이 구체화되어 있거나, 진출 초기 단계에 있는 기업을 우선으로 선정합니다. 선정 기준은 총 3차 선발단계를 거쳐 진행하게 됩니다. 먼저 필수 신청자격의 해당유무를 확인하여 1차 자격 적격성을 검토합니다. 2차로 국내 서면평가가 진행되며, 해당 단계에서는 해외진출준비도에 대한 정량 및 정성평가를 진행하여 신청기업의 해외상업 진행역량 등 해외진출에 대한 준비 정도를 확인합니다. 마지막 3차로 해외전문가 평가가 이루어 집니다. 이는 2차 국내 서면평가 통과기업에 한하여 별도로 안내되며, 가치제안( VP, Value Proposition), 타겟 고객(TC, Target Customer), 비즈니스 모델(BM, Business Model), 글로벌 경쟁력(GC, Global Competitiveness), 해외 채널 네트워크(External Channel Network), 팀 역력(Team Competencies) 를 평가하게 됩니다. 일부 조건을 충족할 경우, 3차 해외평가가 면제되기도 하니 공고문을 꼼꼼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3. 주요 지원 내용과 프로그램 구성
본 사업은 크게 경영컨설팅, PMP 프로그램, 해외 IR/테크매칭/교육세미나, 보육공간 제공 등 네 가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디지털 분야 혁신기술기업이 글로벌 시장을 지향하여 성장할 수 있도록 서비스 및 사업기회를 지원합니다. 내부 컨설팅은 상시 지원을 하며, 해당 내부 컨설팅 이후 담당 내부 컨설턴트가 추가적 전문 컨설팅의 필요를 인정하는 경우, 글로벌 역량을 갖춘 채널 파트너를 통해 2차 외부 컨설팅을 진행합니다. 서비스 분야별 최대 2천만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진원을 하며 지원금액 초과시에는 기업이 부담 후 지원 가능합니다. PMP프로그램은 타겟 시장에 대해 정확하게 파악하여 기업별 해외진출 준비도, 수요도 등에 따라 전략 수립을 제공합니다. 건당 최대 2천만원을 초과하지 않으며 경영컨설팅을 포함하여 최대 4천만원을 초과할 수 없습니다. 보육공간 제공의 경우 최초 12개월 이내 독립형 사무실 또는 회의실 등을 지원하며 12개월 단위로 계속 연장이 가능합니다.
4. 신청 일정 및 접수 방법
2025년 상반기 기준, 본 사업은 상시 공고 형태로 진행되고 있으며, 일정에 따라 연중 1~2회에 걸쳐 신청 접수가 이루어집니다. 신청을 원하는 기업은 글로벌디지털혁신네트워크 홈페이지(www.gdinfoundation.com)을 통하여 접수가 가능합니다. 제출서류로는 온라인을 통하여 신청서, 개인정보활용동의, 사업자등록증과 함께 기업정보와 사업모델이 확인가능한 기업 소개자료를 영문과 국문 각 2개의 PDF파일로 변환하여 등록하여야 합니다. 최종 평가 후 선정기업에 한하여 국세, 지방세 완납증명서 및 기타 선정에 필요한 서류를 제출하여야 합니다. 선정 이후에는 K-Global 시스템(www.k-global.kr) 내 성과자료를 제출하여야 하며, 중소기업통합관리시스템(www.sims.go.kr) 지원이력을 등록하여야 합니다. 신청 전 공고문을 통해 각국별 지원 항목 및 절차를 반드시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5. 기대 효과 및 참여 기업 활용 사례
본 사업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 진출한 국내 ICT 기업들은 제품 현지화와 파트너십 체결, 신규 시장 개척 등의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실제로 2024년 기준, 이 사업을 통해 200여 개 기업이 해외 진출 지원을 받았으며, 약 120건 이상의 글로벌 파트너십이 체결된 바 있습니다. 특히 미주, 유럽, 동남아 시장에 진출한 기업들은 투자 유치 및 수출 계약을 통해 괄목할 만한 성과를 올렸고, 향후 지속 가능한 글로벌 성장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이처럼 K-Global 해외진출 지원사업은 ICT 기술 기반 기업의 해외 시장 진출을 위한 핵심 플랫폼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세계를 무대로 성장하고자 하는 기업에게는 중요한 기회가 될 것입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소상공인 점포환경 개선사업, 영세 자영업자의 경쟁력을 키우는 핵심 지원정책 (3) | 2025.04.21 |
---|---|
출산육아기 부모 고용안정장려금, 일과 육아의 균형을 위한 정부 지원제도 (2) | 2025.04.20 |
2025년 고령자 맞춤형 일자리 지원사업, 시니어 세대의 안정된 경제활동 지원정책 (0) | 2025.04.18 |
2025년 디지털 일자리 지원사업, 중소기업·스타트업에게 꼭 필요한 고용 지원제도 (1) | 2025.04.17 |
골목상권을 살리는 힘, 2025년 전통시장 및 상점가 활성화 지원사업 (4) | 2025.04.16 |